접속법의 과거 시제 규칙과 관련해서 오늘은 반과거에 이어 접속법 복합 과거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직설법 시제에서 복합 시제 중 복합 과거와 대과거를 사용하듯 접속법에도 역시 복합 과거와 대과거 시제가 사용됩니다. 접속법 복합 과거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고, 대과거와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주요 개념들에 대해 살펴보고 동사 변화표를 통해 동사 변화 규칙도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접속법 복합 과거
만약 주절이 현재나 미래 시제를 나타내고, 현재나 미래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타내는 종속절 동사는 접속법 복합 과거를 사용합니다.
ex.) Il n'est pas possible que le temps ait changé aussi rapidement.
Je regretterai vivement que mes amis soient partis sans me saluer.
bouger | réagir | naître |
que j'aie bougé | que j'aie réagi | que je sois né(e) |
qu'il / elle ait bougé | qu'il / elle ait réagi | qu'il / elle soit né(e) |
que nous ayons bougé | que nous ayons réagi | que nous soyons né(e)s |
qu'ils / elles aient bougé | qu'ils / elles aient réagi | qu'ils / elles soient né(e)s |
접속법 대과거
만약 주절이 과거를 나타내고, 과거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일어난 과거의 사실을 나타내는 종솔절 동사는 접속법 대과거를 사용합니다.
bouger | réagir | naître |
que j'eusse bougé | que j'eusse réagi | que je fusse né(e) |
qu'il / elle eût bougé | qu'il / elle eût réagi | qu'il / elle fût né(e) |
que nous eussions bougé | que nous eussions réagi | que nous fussions né(e)s |
qu'ils / elles eussent bougé | qu'ils / elles eussent réagi | qu'ils / elles fussent né(e)s |
유의 사항
1) 접속법 대과거 동사 변화 형식은 조건법의 2e forme (le passé 2e forme du conditionnel)과 동일합니다.
2) 3인칭 단수에서 접속법 대과거와 직설법 전과거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023.05.30 - [프랑스어]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30: 단순 과거일까, 접속법 반과거일까?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30: 단순 과거일까, 접속법 반과거일까?
지난 포스팅에서 접속법 반과거 시제가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접속법 반과거 시제 외에도 단순 과거, 직설법 반과거, 복합 과거, 대과거 등 프랑스어의 여러 과거 시제 중 어
atelier-j.tistory.com
'프랑스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33: 명령법 현재일까 직설법 현재일까? (0) | 2023.06.02 |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32: 명령법 (0) | 2023.06.01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30: 단순 과거일까, 접속법 반과거일까? (0) | 2023.05.30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29: 접속법 반과거 (0) | 2023.05.29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28: 직설법 현재일까 접속법일까? (0) | 2023.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