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 동사 변화(la conjugaison)는 여러 가지 규칙에 따라 적용됩니다. 시제(les temps)에 따라 변화되기도 하고, 직설법(l'indicatif), 명령법(l'impératif), 접속법(le subjonctif), 조건법(le conditionnel)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시제, 형태와 더불어 프랑스어 동사는 인칭에 따라서도 각각 다르게 변형되는데, 시제와 형태도 각 인칭에 맞춰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동사 변화에 대한 이해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럼 프랑스어 동사가 시제, 형태, 인칭에 따라 어떤 규칙을 갖고 변형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Les temps (시제)
1) 동사의 시제(le temps)는 시간의 축(un axe temporel)을 중심으로 과거, 현재, 미래(passé, présent, futur) 등 시제로 변화합니다. 이때 동사의 어미(la terminaison) 부분이 시제에 따라 달라집니다.
ex.) hier(어제) > je marchais / aujourd'hui(오늘) > je marche / demain(내일) > je marcherai
2) 단순 시제(temps simples) : 조동사(auxiliaire)가 없는 형태입니다.
ex.) je marche / nous marchions / vous marcheriez
3) 복합시제(temps composés) : 조동사 être 또는 avoir + 동사의 과거분사(participe passé du verbe)의 형태입니다.
ex.) j'ai marché (나는 걸었다) / nous avions marché (우리는 걸었다) / ils seront partis (그들은 떠났다)
Les modes (형태)
1) 직설법(l'indicatif) : 현재에 대한 행동을 나타냅니다.
ex.) Il lit ce roman. (그는 이 소설을 읽는다.)
2) 명령법(l'impératif) : 명령, 조언, 권고 형태의 행동을 나타냅니다.
ex.) Lis ce roman ! (이 소설을 읽어!)
*명령법 동사가 보통 문장의 처음으로 시작합니다.
3) 접속법(le subjonctif) : 예상된 또는 가정의 행동을 나타냅니다.
ex.) Il faut qu'il lise ce roman. (그는 이 소설을 읽어야 한다.)
*위 예문에서 lire 동사가 접속법으로 활용된 것은 "Il faut que" (~해야 한다) 표현 때문입니다. 프랑스어에는 이렇게 특정 표현 뒤에 오는 동사는 접속법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하는데, 자주 쓰는 접속법 표현은 추후 따로 리스트업 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 조건법(le conditionnel) : 불확실한 또는 조건에 의한 행동을 나타냅니다.
ex.) S'il en avait le temps, il lirait ce roman. (시간이 있었다면, 그는 이 소설을 읽었을 것이다.)
*위 예문에서도 lire 동사가 조건법으로 활용된 것은 lire가 포함된 앞 절에 "Si" (= ~라면) 표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접속법을 동반하는 표현과 같이 조건법 역시 조건법을 동반하는 표현이 있습니다.
Les personnes (인칭)
1) 동사의 어미(la terminaison)은 인칭에 따라 달라집니다.
2) 대명사에는 je, tu, il, elle, on, nous, vous, ils, elles 가 있고, 각 대명사에 따라 동사변화가 일어납니다. (pronoms de conjugaison)
3) 프랑스어 인칭은 각각 3개의 단수, 복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1re, 2e, 3e pers. du singulier =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 1re, 2e, 3e pers. du pluriel = 1인칭, 2인칭, 3인칭 복수
ex.) 대명사에 따른 동사 변화 예시
je marche | C'est moi qui fais l'action. | 1인칭 단수 |
tu marches | C'est toi qui fais l'action. | 2인칭 단수 |
il / elle / on marche | C'est lui / elle qui fais l'action. |
3인칭 단수 |
nous marchons | C'est nous qui faisons l'action. |
1인칭 복수 |
vous marchez | C'est vous qui faites l'action. | 2인칭 복수 |
ils / elles marchent | Ce sont eux / elles qui font l'action. | 3인칭 복수 |
* 대명사 중 "vous"의 경우 2인칭 복수이기도 하지만, tutoyer (tu를 사용하여 말을 놓다) 할 수 없을 때 경어적 복수 (le pluriel de politesse, le vous de politesse) 형식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때 동사는 기존대로 2인칭 복수 형태로 변형되며, être 조동사를 사용하는 복합시제에서 과거분사는 남성 또는 여성형 단수로 표시합니다.
* 일상적인 언어에서는 (dans la langue courante) "우리"를 표현할 때, "nous" 보다 "on"을 자주 사용합니다.
ex.) Nous allons au resto. > On va au resto. (우리는 식당에 간다.)
프랑스어 동사 규칙 중 시제, 형태, 인칭에 따라 어떻게 동사 변화가 일어나는지 공부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프랑스어 동사 변화이지만, 더 쉽게 이해하려면 앞 포스팅에서 공부한 각 동사의 어근과 어미 규칙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와 해당 동사가 어느 동사그룹에 속한 단어인지 이해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앞선 포스팅의 내용도 같이 확인하시면서 프랑스어 동사 변형 규칙을 모두 마스터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2023.05.01 - [프랑스어]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1: 부정동사, 어근과 어미, 동사변화 그룹, 대명동사란?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1: 부정동사, 어근과 어미, 동사변화 그룹, 대명동사란?
프랑스어 알파벳의 구성, 자음과 모음의 규칙과 각각의 발음에 이어 5월부터는 프랑스어 동사의 부정동사, 어근과 어미, 동사변화 그룹, 대명동사를 시작으로 세부적인 규칙들을 하나하나 알아
atelier-j.tistory.com
'프랑스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6: 직설법 반과거, 1군, 2군, 3군 동사 변화 (0) | 2023.05.06 |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5: 직설법 현재, 불규칙 동사 (0) | 2023.05.05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4: 직설법 현재, 2그룹, 3그룹 동사 (0) | 2023.05.04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3: 직설법 현재, 1그룹 동사 (0) | 2023.05.03 |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1: 부정동사, 어근과 어미, 동사변화 그룹, 대명동사란? (2) | 2023.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