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동사3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33: 명령법 현재일까 직설법 현재일까? 프랑스어 동사 변화에서 구어체, 문어체 모두에서 동사 변화 형식이 헷갈릴 수 있는 시제들이 있습니다. 명령법과 직설법 현재의 경우에도 명령법에서 동사 변화가 적용되는 인칭과 직설법 현재와 발음과 대명동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혼동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럼 직설법 현재와 명령법을 혼동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정리해 보고 두 시제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음으로 인한 혼동 1) 1군 동사의 경우, 주어가 생략되는 명령법과 직설법 현재의 2인칭 단수 동사 변화를 주의해야 합니다. ex.) Appelle ton ami au téléphone. (명령법 현재) / Tu appelles ton ami au téléphone. (직설법 현재) 2) offrir, o.. 2023. 6. 2.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18: 과거 분사 일치, être 조동사 지난번에 avoir 조동사를 사용하는 과거 분사 규칙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오늘은 이어서 être 조동사를 사용하는 과거 분사 일치 규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avoir 조동사의 경우 주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être의 경우에는 주어의 성별과 수에 따라 변화합니다. Le local est resté sans surveillance. / L'entrée est restée sans surveillance. / Les locaux sont restés sans surveillance. / Les entrées sont restées sans surveillance. 문장을 보면 resté 가 le local 또는 l'entrée의 성별과 숫자에 따라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조동사.. 2023. 5. 18. [프랑스어 문법] 프랑스어 동사 규칙 1: 부정동사, 어근과 어미, 동사변화 그룹, 대명동사란? 프랑스어 알파벳의 구성, 자음과 모음의 규칙과 각각의 발음에 이어 5월부터는 프랑스어 동사의 부정동사, 어근과 어미, 동사변화 그룹, 대명동사를 시작으로 세부적인 규칙들을 하나하나 알아보려 합니다. 언어로 표현할 때 문장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동사는 많은 어휘를 알수록 표현이 다채로워집니다. 외국어에서 새로운 어휘를 공부하는 데에는 끝이 없어서 꾸준히 갖고 가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동사가 문장에서 어떤 규칙으로 활용되는지 기본기를 아는 것이 어휘량에 대한 공부와 함께 중요합니다. 동사의 기본 개념부터 복잡한 문법 구조까지 프랑스어에서 동사가 어떤 규칙을 가지고 있는지 공부해 보겠습니다. 공부할 교재는 위의 이미지에 보이는 Hachette 출판사의 입니다. 해당 교재는 3개 챕터로 .. 2023. 5. 1. 이전 1 다음